명리학/자평진전(子平眞詮)(60)
-
제13장 성패변화편(論用神因成得敗因敗得成)
1. 격국 성패(成敗)의 변화 팔자(八字)라는 것이 그 명조 내에서 변화가 다양하다지만,결국에는 성격과 패격으로 분류된다. 성패(成敗)라는 것도 그 가운데 예측하기 어려운 변화가 있지만, 결국에는성중유패(成中有敗), 패중유성(敗中有成)으로 분류된다. 2. 성격이 패격이 되는 경우 ① 상관격이 변화하여 재격이 되는 것은 성격이다. 그런데 辛 일주가 亥月에 태어나 상관격이고 투출한 丁 칠살을 쓰고 있는 경우라면 亥卯未가 회합하여 재성으로 변하는 것은 재생살(財生煞)로 칠살이 강해지니 성격이 패격이 되어 버렸다. ② 인수격이 칠살을 쓰는 것은 성격이다. 그런데 癸 일주가 申月에 태어나서 가을의 金은 무겁고 무거운데 재성의 剋으로 그 태과함을 줄이고 있다면 칠살을 만나 ..
2024.09.13 -
제12장 격국고저편(論用神格局高低)
1. 격국 고저(高低)의 이치 팔자에는 모두 용신(用神)이 있고 분명 격국(格局)이 있다.그리고 격국이 있으면 분명 고저(高低)가 있다. 재성·정관·인성·식신·칠살·상관·양인·녹겁, 어떤 격(格)이라고귀한 것이 아니며 어떤 격(格)이라고 천한 것이 아니다. 극히 귀한 사주부터 극히 천한 사주가지 수만 개가 모두제각각이고 그 변화가 천태만상이니 어찌 말로 모두 설명할수 있겠는가? 그러나 그 이치의 대강은 역시 유정(有情)과무정(無情), 유력(有力)과 무력(無力)의 간극에 있는 것이다. 2. 유정(有情) - 合去 등으로 용신이 淸하게 되는 사주 예를 들어, ① 정관격의 경우 보통은 인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재성을 투출하고 있는 것만 못한데, 사주 내에 상관을 가지고 있다면 오히려 인수를 가지고 ..
2024.09.12 -
제11장 겸격순잡편(論用神純雜)
1. 용신변화는 순잡(純雜)으로 나뉜다. 용신에는 이미 변화가 있다 하였고, 변화 중에서도순(純)한 것과 잡(雜)한 것으로 나뉘게 되니,순(純)하면 길하고 잡(雜)하면 흉하다. 2. 겸격(兼格)이 순수(純粹)한 경우 무엇을 일컬어 순(純)이라고 하는가? 오행의 작용(相生相剋)에서 둘이 서로 이득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① 辛 일주가 寅月에 태어났고 甲과 丙이 나란히 투출하면 재성과 정관이 서로 生하는 관계이니 둘이 서로 이득이 된다. ② 戊 일주가 申月에 태어났고 庚과 壬이 나란히 투출하면 재성과 식신이 서로 生하는 관계이니 둘이 서로 이득이 된다. ③ 癸 일주가 未月에 태어났고 乙과 己가 나란히 투출하면 칠살과 식신의 상극이고 그 상극으로 서로 얻는 것이 타당하니 이 역..
2024.09.11 -
제10장 용신변화편(論用神變化)
1. 용신변화란 지장간의 투출을 의미한다. 용신은 모두 월령이 주관한다.그러나 월령의 지장간은 하나가 아니므로용신은 결국 변화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십이지지 중 자오묘유(子午卯酉:旺地)를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숨겨놓은 것이 있는 셈이니진술축미(辰戌丑未)에만 필요한 얘기가 아니다. 寅을 가지고 논해보자면, 甲은 본주(本主)이니군(郡)에 부관(府官)이 있는 것과 같고, 丙의 장생(長生)이니 군(郡)에 동지(同知)가 있는 것과같고, 戊에게도 장생(長生)이니 군(郡)에 통판(通判)이있는 것과 같다. 가령 寅月이 월령인데 甲은 투출하지 않고 丙이 투출한것은 군(郡)에 부관(府官)이 부임하지 않고 대신동지(同知)가 관리 지위를 얻은 것과 가다고 보면 된다.즉 용신변화라는 것은 이런 연유에서 비롯된다. ..
2024.09.10 -
제9장 용신성패편(論用神成敗救應)
1. 월령용신 그 다음은 성패(成敗) 용신(用神)은 오직 월령(月令)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니,사주를 그것(월령)에 맞추어 보면 반드시 성격(成格)과패견(敗格)이 보일 것이다. 2. 성격(成格)이란? 무엇을 일컬어 성(成), 즉 성격(成格)이라고 하는가? ① 정관이 재성과 인성을 만나고 또한 형충파해(刑沖破害)가 없다면 정관격이 성격을 이루었다고 한다. ② 재성이 旺하여 정관을 生하는 경우, 혹은 재성이 식신을 만나 生을 받으면서 일주가 신강하고 비견을 가진 경우, 혹은 재격에서 인성이 투출하고 그 위치가 아주 적당하며 이 둘이 서로 상극하지 않는 경우, 재격이 성격을 이루었다고 한다. ③ 인성이 가벼운데 칠살을 만난 경우, 혹은 정관과 인성 양쪽이 모두 균형을 이룬 ..
2024.09.08 -
제8장 용신기초편(論用神)
1. 자평진전에서 용신(用神)이란? 팔자(八字)의 용신은 오로지 월령(月令)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니,일간을 월령 지지(地支)에 맞추어 보면 生함과 剋함이 사주마다같지 아니하고 이로써 격국(格局)들이 나누어진다. 財官印食(재성,정관,인성,식신)은 그 용신이 선하여 순용해야 하는것들이며, 煞傷劫刃(칠살,상관,녹겁,양인)은 그 용신이 선하지아니하여 역용해야 하는 것들이다. 순용할 것은 순용하고 역용할 것은 역용하여, 배합이 적절하면그 사주는 귀격(貴格)이 될 것이다. 2. 순용(順用)과 역용(逆用) 사길신(四吉神)의 경우 선하여 순용해야 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다. ① 재성(財星)은 식신(食神)과 상생하고 정관(正官)을 생함으로써 재성이 보호 받는 것을 좋아한다. ② 정관(正官)은 투출된 재성(財星)과 ..
202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