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자평진전(子平眞詮)(60)
-
命理고전 시대별 순서 2024.12.13
-
제47장 잡격(論雜格)
1. 잡격(雜格)이란? 잡격(雜格)이란 월령에 용신이 없어 외격(外格)으로 격을잡고 그 곳에서 용신을 찾는 경우이다. 그러한 격이 심히많아 이를 가리켜 잡격이라 한다. 대략은 천간에 관살(官煞)이 없는 것이 중요한데 그래야만외격이 이루어진다. 만약 관살이 있다면 그 관살을 스스로쓸 것이므로 외격이라 할 수 없다. 만약 재성(財星)이 투출했다면 그것으로 격을 취할 수 있고,재성의 뿌리가 깊거나 혹은 재성이 두 개가 떴다면 재성이중한 것이 되므로 이 또한 외격이라 할 수 없다. 2. 일방수기격(一方秀氣格) : 염상, 윤하, 종혁, 가색, 곡직 이런 격들을 시험하여 논해 보면, 한 가지 오행으로 빼어난 기(氣)를 취하는 격이 있다. 甲乙 일주에 亥卯未나寅卯辰으로 채워지면 봄에 태어난 부류일 테고..
2024.11.26 -
제46장 건록월겁격 취운법(論建祿月刧取運)
1. 록겁용관(祿刧用官) : 인호희재(印護喜財) 건록월겁격의 취운법이란 록겁(祿刧)으로 이루어진국(局)을 몇 가지로 나누고 이에 맞춰 취운을 살피는것이다. 건록월겁격이 정관을 제1용신 체(體)로 삼고, 정관을보호해 주는 인성을 쓰고, 정관을 生하는 재성을 희신삼는 경우, ① 정관이 合되는 운을 두려워하고,② 칠살이 같이 투출되는 운도 두려워한다.③ 식상운이 와도 해(害)가 되지 않으며,④ 비겁운이 와도 바로 흉(凶)이 되지 않는다. 2. 록겁용관(祿刧用官) : 재생희인(財生喜印) 건록격이 정관을 제1용신 체(體)로 삼고, 정관을 生해주는 재성을 쓰고, 정관을 보호하는 인성을 희신 삼는경우, ① 당연히 정관은 통근하고 있어야 하며 식상운이 정관을 업신여기는 것을 두려워하고,② 재성운을 만나면 그 ..
2024.11.24 -
제45장 건록월겁격(論建祿月刧)
1. 건록(建祿)과 월겁(月刧)은 동일격(同一格) 건록격(建祿格)이란 월건(月建:월령)에서 록당(祿堂:록)을 만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록(祿)은 곧 비겁(比刧)이다. 혹여 록당이 빼어난 기운이라 할지라도 이에 의지하거나 용신으로 쓰는 것은 불가하다. 그런 점에서 건록(建祿)과 월겁(月刧)은 동일한 하나의 격으로 보고 구분할 필요가 없다. 둘 모두 천간에 투출돼 있는, 혹은 지지에서 합국되어진 별도의 재성, 정관, 칠살, 식상을 용신(體)으로 취해야 한다. 2. 록겁용관(祿刧用官) : 인호희재(印護喜財) 건록월겁격이 정관을 용신(體)할 때 정관이 천간으로 투출하면 기특하게 여기고 또한 재성과 인성이 함께 따라줌이 필요하고 보좌함이 없이 정관 혼자이면 좋지 않다. 건록격에 정관을 용신(體)하며 인성의 보..
2024.11.21 -
제45장 건록월겁격(論建祿月刧)
1. 건록(建祿)과 월겁(月刧)은 동일격(同一格) 건록격(建祿格)이란 월건(月建:월령)에서 록당(祿堂:록)을 만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록(祿)은 곧 비겁(比刧)이다.혹여 록당이 빼어난 기운이라 할지라도 이에 의지하거나용신으로 쓰는 것은 불가하다. 그런 점에서 건록(建祿)과 월겁(月刧)은 동일한 하나의 격으로 보고 구분할 필요가 없다. 둘 모두 천간에 투출돼있는, 혹은 지지에서 합국되어진 별도의 재성, 정관, 칠살,식상을 용신(體)으로 취해야 한다. 2. 록겁용관(祿刧用官) : 인호희재(印護喜財) 건록월겁격이 정관을 용신(體)할 때 정관이 천간으로투출하면 기특하게 여기고 또한 재성과 인성이 함께따라줌이 필요하고 보좌함이 없이 정관 혼자이면 좋지않다. 건록격에 정관을 용신(體)하며 인성의 보호가 있는 ..
2024.11.19 -
제44장 양인격 취운법(論羊刃取運)
1. 양인용관(羊刃用官) 양인격이 정관을 제1용신 체(體)로 삼는 경우, ① 정관은 순용하니 정관을 돕는 운이 좋은데, ② 정관의 뿌리가 깊다면 인수운과 비겁운으로 향하는 것이 오히려 좋은 운이 될수 있다. ③ 식상운이 오거나 정관을 합거하는 운이 오면 좋을 리가 없다. 2. 양인용살(羊刃用煞) 양인격이 칠살을 제1용신 체(體)로 삼는 경우, ① 칠살이 심히 왕하지 않다면 칠살을 돕는 운도 좋겠지만, ② 칠살이 아주 강하다면 신왕운이나 인수운이 좋다. ③ 또한 칠살은 역용하니 식상운이 오는 것을 꺼릴 리가 없다. 3. 양인관살병출(羊刃官煞並出) 양인격에서 정관과 칠살이 함께 투출한 경우, '거관유살(去官留煞)'이나 '거살유관(去煞留官)' 같은 경우를 막론하고 ① 강한 관살을 제복(制伏)하는 운(식상)이 ..
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