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간명(86)
-
♤가시나무♤
어느 깊은 산속의 산사에서 스승이 제자들에게 물으셨다."가시나무를 보았는가?""예, 보았습니다.""그럼, 가시나무는 어떤 나무들이 있던가?""탱자나무, 찔레나무, 장미꽃나무, 아카시아나무 등이 있습니다.""그럼, 가시 달린 나무로 몸통 둘레가 한아름되는 나무를 보았는가?""못 보았습니다.""그럴 것이다. 가시가 달린 나무는 한아름 되게 크지는 않는다.가시가 없어야 한아름 되는 큰 나무가 되는 것이다.따라서, 가시가 없는 나무라야 큰 나무가 되어 집도 짓고 대들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가시 없는 큰 나무는 다용도로 쓸 수 있지만 가시 있는 나무는 쓸모가 별로 없느니라.""사람도 마찬가지다. 가시가 없는 사람이 용도가 많은 훌륭한 지도자이며, 꼭 필요한 사람이며, 정말로 성현이 될 수 있는 그릇이다..
2025.01.24 -
MBTI와 십성(사주명리학) 구조 비교 2024.12.23
-
제1장 통천론(通天論) _ 3. 진퇴(進退)
理乘氣行豈有常 進兮退兮宜抑揚 이승기행기유상 진혜퇴혜의억양 理를 타고 氣가 운행하니 어지 일정하겠는가.나아가고 물러감에 따라 마땅히 억제하고 높여주어야 한다. 陰陽의 이(理)를 타고 오행의 기(氣)를 운행하면서 진퇴(進退)를반복하고 태극의 형상을 이루면서 순환하며 기세의 왕쇠가만들어지므로 기세가 일정하지 않다고 합니다. 陽은 子에서 시생하여 寅卯辰을 거치며 왕성하게 성장하므로나아가는 진(進)이라고 하며 午에서 극에 이르고 점차 쇠약하므로이를 물러가는 퇴(退)라고 합니다. 陽이 극에 이르면 午에서 陰이 시생하여 申酉戌을 거치며 왕성하게 성장하므로 이를 나아가는 진(進)이라고 하며 子에서극에 이르고 점차 쇠약하므로 이를 물러가는 퇴(退)라고 합니다. 나아가는 기세는 북돋아주어 왕성하게 나아갈 수 있도록 고..
2024.12.19 -
♤사람 관계(2편)♤
친구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듣고 싶은 이야기들이 쌓일 때 쯤친구에 대한 그리움도 커져 갈 것이다 그리움이 어느 정도 커져 만나면더욱 반갑고상대방에게 듣고 싶은 이야기도많게 된다 내 말에 공감해 주고 경청해 주는사람이 있다면 그 얼마나 좋은 일인가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지 않으면공감하기 어렵다 생각과 행동에 공감대가 없으면그 관계는 지속되기 어렵다 일 년에 두어 번 가끔 만나는 사람도사고의 공감대가 없으면그 자리와 시간이지루하고 따분하지 않던가 하물며 하루가 멀다하고자주 만나는 사람과 공감대 없이입으로만 자신의 생각을주절주절 떠들어댄다면상대방도 나도 결국 공감의 대화는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법구경 ‘술천품장’에 보면이런 구절이 나온다 ‘쓸모 없는 천 마디의 말보다들으면 마음이 고요해지는한 마디가 훨씬 낫다..
2024.12.17 -
제1장 통천론(通天論) _ 1. 삼원(三元) _ 1) 천도(天道)
欲識三元萬物宗 先觀帝載與神功욕식삼원만물종 선관제재여신공 삼원이 만물의 근본임을 알고자 하면먼저 제재와 신공을 관찰하여야 한다. 천도(天道)란 하늘의 도리로서 하늘이 자연에서 운행하는이치이며, 삼원(三元)은 천지인(天地人)으로서 하늘과 땅과사람이며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천지만물의 근원을이루는 근본적 기운이라고 합니다. 천지만물의 근원을 알고자 한다면 먼저 하늘에서 절대적인존재가 일으키는 조화를 관찰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제재(帝載)는 하늘의 절대적인 존재이며 신공(神功)은 절대적인 존재가 일으키는 신의 조화를 말합니다. 하늘에는 삼황오재(三皇五帝)가 있으며 삼황은 천지인을주관하는 신으로서 복희씨(伏羲氏)·신농씨(神農氏)·여와씨(女瓦氏)라고 하며, 오제는 오방(五方)과 오행을 주관하는신으로서 중앙에서..
2024.12.12 -
♤겸손과 미숙한 삶♤
다람쥐는 가을이 오면 겨울 양식인 도토리를 부지런히 땅에 묻어두는데, 묻은 장소를 다 기억하지 못한다. 결국 다람쥐의 겨울 식량이 되지 못한 도토리는 나중에 도토리 나무가 되어, 다시 다람쥐에게 도토리를 선물한다. 다람쥐의 기억력이 탁월해서, 묻어둔 도토리를 전부 찾아 먹어 버렸다면 산 속에 도토리 나무는 씨가 말랐을 것이다. 다람쥐는 어리숙함 때문에 또 다른 식량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요즘 세상에 어리석은 사람을 찾기가 힘들다. 모두 영리하고, 똑똑하고, 계산이 빠르며 이해득실에도 밝다. 영리하다 못해 영악하기까지 하다. 옛말에 이런 말이 있다. "기지(其智)는 가급(可及)하나, 기우(其愚)는 불가급(不可及)하다. 똑똑한 사람은 따라 할 수 있으나, 어리석은 자는 흉내 낼 수 없다" 사람은 영리해지..
202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