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탐색/명리진로학습코칭(42)
-
인간의 뇌 발달 이해
인간 뇌는 몸무게 2% 정도이나 1,000억개의 신경세포와 1,000조개의 신경세포 접하부로이루어져 무한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창조해내는 능력을 발휘하며 그 한계치를 가늠하기어렵다. 인간은 동물들과 달리 어머니 뱃속에서 10달을 보내지만 약30%만 성장해서 출생하는 것이뇌이다.만물의 영장이라 불리는 인간이 아이러니하게 당시는 스스로 생명을 유지해가기 어려울만큼매우 열악한 뇌 발달과 신체조건으로 불완전하게 세상 밖으로 나온다. 그러나 인간의 지배를 받는 모든 동물들은 태어날 당시에 이미 뇌가70%가량 성장한 상태이므로곧바로 걷고 뛸 수 있으며 본능적으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태어난다. 이는 동물세계의 잡아먹고 먹히는 먹이사슬과정의 생존방식을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70% 성장한 뇌로 인해서 ..
2024.03.18 -
재능이란?
♤ 재능 = 재주 + 능력 ♤ 재능수준의 이해 - 재능은 개개인별로 수도 없이 많은 분야에서 나타나게 된다. 재능은 삶을 살아가는 동안 경제적 활동이 될 수 있는 모든 학습, 전공, 행동, 행위 등이 직업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는 남과 차별화된 능력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ex) 그림을 잘 그리는 아기가 10명이 있다. 그 10명의 그림 그리는 수준은 모두 다르다. 어떤 아이는 자신이 할 수 있는 것 중에 가장 잘하는 것이 그림 그리기이지만 다른 사람들의 평균 수준 밖에 안 될 수 있다. 또 어떤 아이는 같은 노력을 했음에도 월등히 잘 그려서 전국대회에서 1등..
2024.03.14 -
서울대학교에 자녀 셋을 보낸 어머니 일화 소개
“아무것도 하지 않았어요. 다들 한다는 과외는 고사하고 학원도 별로 보낸 기억이 없어요. 그냥 함께 놀아주었어요. 아이들은 부모보다 훨씬 아름답고 튼튼한 존재로 부모가 섣불리 끼어들지 않으면 아이들은 얼마든지 싱싱하게 커 나가므로 아이들을 키울 생각을 하지 말고 이들이 커가는 모습을 따뜻한 눈으로 바라만 봐도 아이도 행복하고 부모도 행복해지더군요.” 위로 두 형이 모두 명문대에 진학함으로써 몇 배의 심리적 부담을 가졌던아이에게 두 형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밖에 없는 우리 셋째 아들"이라는각각의 개인으로 존재함을 일깨워주며 사랑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해주었다고 한다. 비교하지도 지적하지도 비판하지도 않으면서 오히려 아이들은 저마다의 빛깔을 갖고 태어나기에 특별하다는 교육관으로 자녀를 순수하게..
2024.03.11 -
명리진로상담의 장점
현재 우리는 서양의 심리학은 절대적으로 수용하는 분위기이다.즉 서양에서 개발된 홀랜드 성격유형검사, MBTI, 에니어그램 등은 그 결과의 정확도에 상관없이 대중들의 인식에서 합리적이라는평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안타깝게도 명리학이라는 동양의 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는 학문은 시정잡배의 상술로만 여기며 천하게 대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는 대학교 학부과정과 대학원에서 많은 석박사가배출되며 과학적인 접근방법으로 예전보다 일반인들의 의식이바뀌었다고 본다. 사주를 명리학으로 본다는 것은 다소 협의의 개념이긴 하지만다른 서양의 적성검사나 심리검사보다 더 정확도를 보인다는 것이현장에서 느끼고 있다. 즉 서양의 검사는 질문지를 이용하여 많은 문항수를 체크해야 하고검사자의 검사당일의 기분이나 감정, ..
2024.03.09 -
아인슈타인 일화 소개
〈당신의 자녀는 장차 어떤 일을 해도 성공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됨〉 상대성이론을 창시한 아인슈타인의 성적표에 적힌 내용이다. 초등학교 선생님도 가능성이 없다고 적을 만큼 문제아로 비춰지던 아인슈타인의 재능을 파악하고 그 능력을 살려 낸 이는 바로 어머니였다. 남들과 같다면 결코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없는 것처럼 남과 달라서 오히려 성공할 수 있다고 끝없는 용기를 주었기에 남과 다른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자신만이 가진 재능을 탐구하고 개발할 수 있는 강한 정신력을 갖게 되었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부모들이 김기창 화백의 어머니나 아인슈타인의 어머니처럼 객관적으로 자녀의 재능을 간파하고 살려주는 것은 아니다. 보통의 부모들은 자신도 모르는 ..
2024.03.08 -
성공과 실패는 종이 한 장!
인간은 작은 우주이다. “아이는 세상의 모든 가능성을 품고 있는 하나의 작은 우주이다.” 우리는 흔히 아이들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소우주라는 말을 하곤 한다. 우주는 끝을 알 수 없는 공간으로 그 신비로움은 경외감마저 일게 하는데 그런 우주를 아이들과 동일시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아이들은 마치 스펀지와 같이 엄청난 정보와 지식을 무한정으로 수용할 수 있다. 어떤 모습으로 성장할지 그 미래를 알 수 없으나 그 가능성은 무한하다.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사회 통념이라는 틀에 맞춰져버린 생각들로 아이들의 가치를 양복의 치수를 재듯이 재기 시작한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도 멋들어진 옷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삐져나오는 천은 가차 없이 ..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