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탐색/명리진로학습코칭(42)
-
교육학과 명리학 융합 Ⅳ - 식상이 왕할 경우 교육 방법
사주 내에 식상(식신/상관)이 왕(旺)할 경우관(官)을 무시하거나 극(剋)을 하여 관의 귀함을 날려버린다.식상을 이용, 자신의 의사를 분명히 전달하는 것은 좋으나상대방의 감정을 건드리지 않는 훈련도 필요하다.타인의 마음을 헤아리면서 자신의 말에 책임을 지도록 이와 관련된도서를 읽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 강한 식상의 단점 · 무슨 일이든 호기심이 발동되어야 하며 하고 싶은 것만 하려고 한다. · 계획된 순서대로 하기보다 즉흥적인 발상으로 인해 손실이 생긴다. · 암기력이나 인내심이 부족하고 참을성이 없어 지속적인 일에 취약하다. · 감정변화가 많고 조절이 안 될 때가 종종 발생한다. ☞ 인성(편인/정인) 보충 교육 필요 · 말하기 전에 자신의 생각을 머릿속에서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
2024.03.24 -
교육학과 명리학 융합 Ⅲ - 재성이 왕할 경우 교육 방법
재성(편재/정재)이 왕(旺)하면 지나치게 현실적이면서 계산적이라이익을 따지고 가치를 판단해 행동하게끔 하므로 대개 주어지지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가장 치명적인 피해를 당하는 것은 암기력이 부족하고 공부를 하기 어렵다.비겁(비견/겁재)을 통해 재성을 적절히 극해야 인성(편인/정인)를 보호하는 것은물론 공부를 놓치는 것도 방어할 수 있다. ☞ 강한 재성의 단점 · 논리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으면 힘들어 하고 학업을 포기하게 된다. · 수학, 과학의 논리학문을 좋아하지만 암기과목과 신체활동에 취약하다. · 감나무에 감 떨어지길 기다리듯이 노력대비 큰 성과를 원한다. · 지나치게 현실적이라 부자로 살아도 타인에게 인색하고 융통성이 부족해진다. ☞ 비겁(비견/겁재) 보충 교육 필요 · 응용력이 약한 ..
2024.03.24 -
교육학과 명리학 융합 Ⅱ - 관성이 왕할 경우 교육 방법
관성(편관/정관)이 사주내에 너무 왕(旺)하면 일간(나/자신)은억압 받고 통제 받는 일이 많아진다.일방적인 극으로 인해 부정적인 측면이 많이 나오게 되고 자존심이 상하고무모함이 나타난다. 강한 관성은 심리적 서열을 발생한다.식상(식신/상관)이 없으면 안정감, 배려, 희생, 관계형성이 어렵다. ☞ 강한 관성의 단점 · 내가 정한 원칙을 다른 사람들도 따라주기를 원하고 강요하게 된다. · 명분이 약해 大를 위한 小를 희생하는 것과 같이 자신의 의지를 상실한다. · 틀에 얽매여 자신감과 창의적인 수업에 취약하다. · 영어회화나 표현력을 원하는 학습이 약하다. ☞ 식상교육보충 필요 · 형식과 틀에서 벗어나는 미술 등 창의적인 활동을 유도한다. · 자신의 의사를 말할 수 있도록 환경조성을 해준다. ..
2024.03.24 -
교육학과 명리학 융합 Ⅰ - 인성이 왕할 경우 교육 방법
인성(편인/정인)이 왕(旺)하면 생각이 끝없이 이어져 정리가 되지 못하고현실성이 부족해지기 쉽다. 또한 일간(나/자신)으로 유입되는 에너지가 강하므로 일간의 사고력은증대되지만 식상(식신/상관)을 극해 활동적이지 못하고 현실성이 떨어지는경우가 발생한다.인성이 강한 세력으로 식상을 극하게 되면 결국 식상의 문제만 아니라일간의 문제가 된다 ☞ 강한 인성의 단점 · 한 가지를 하더라도 생각하느라 행동이 느려 주변 사람들이 답답해 한다. · 순간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 암기는 잘하고 책읽기나 쓰기는 좋아하지만 수학수업은 싫어한다. ☞ 재성(편재/정재)보충교육 필요 ·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꾸준히 수학 관련 공부애 시간을 투자해줘야 한다. · 시간관념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
2024.03.24 -
내 아이의 반짝 재능에 속는다!
많은 부모님들이 비슷한 실수를 경험하는 것을 보게 된다.바로 '반짝 재능'이 불러오는 착각이다.타고난 적성이 늦게 발휘되고 운(運)에서 주어진 얄팍한 재능이먼저 세상에 빛을 발하면서 진정한 재능을 가린다.결국 우리는 스스로 반짝 재능을 선택하는 실수를 범하게 된다. 타고난 재능이 반드시 하나라는 법은 없다.재능에도 수준이 있고 여러 가지 재능이 동시에 타고나는 경우가 있다.재능수준이 탁월한 것이 있어도 드러나지 않고 꽁꽁 숨어 있거나 또 다른 재능이 먼저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실수를 한다. 특히 자녀가 어릴 때 보여주는 반짝 재능에 속아 잘못된 판단을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유치원에 보냈더니 OO미술대회에서상을 받아오면 혹시나 하는 기대 심리가 있게 된다. "상 받을 정도로 그림을 잘 하니까 ..
2024.03.24 -
출생 후 3년이 평생을 좌우한다.
1,095일, 시간으로 26,280시간 아이의 뇌가 완벽한 성국을 거치지 않고 출생됨으로 인해 생후 1,095일 동안의 부모의 관심과피부접촉은 무한한 가능성을 더 높여준다. 1억개의 뉴런을 갖고 태어나는 아기에게 있어세상에서 접하게 되는 모든 경험은 뇌 발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부모와 애착관계가잘 이루어질수록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아이양육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모는 3세가 될 때까지 아이들에게 어떤 환경을제공할 것인지 무엇을 중점으로 교육할 것인지 전체가 아니 한 인간으로서 아이에게 무엇이필요한지 고민하고 알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뇌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3세까지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그래서 부모가 반드시 지켜야할 일은 다음과 같다. 1. 아이를 관찰하고 기록하라. ..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