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5.십간십이지 이론의 중요성
2024. 8. 20. 05:40ㆍ명리학/자평진전(子平眞詮)
반응형
5. 십간십이지 이론의 중요성
앞서 木을 살펴본 것과 같이 유추하면 나머지 것도 다 알 수 있으며,
다만 土는 목화금수가 충(沖)한 기운으로 사계절 끝에서
왕(旺)하지만, 음양(陰陽)과 기질(氣質)의 원리는 역시 같은 것이다.
명(命)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우선 간지의 이론을 익히고 난 연후에
명리학에 입문할 수 있을 것이다.
[발췌] 산음 자평진전 김기승, 나혁진 편역
728x90
'명리학 > 자평진전(子平眞詮)'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 음양생극(陰陽生剋)-2.오행의 음양에 따른 생극 원리 (61) | 2024.08.22 |
---|---|
2장 음양생극(陰陽生剋)-1.상생과 상극의 원리 (58) | 2024.08.21 |
제1장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4.천간지지의 조합 관계, 월건 (60) | 2024.08.19 |
제1장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3.천간지지의 음양 관계, 상과 형 (62) | 2024.08.16 |
제1장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2.십간의 음양, 기와 질 (67) | 202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