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7. 19. 07:12ㆍ진로탐색/재능이 최고의 스펙
♤ 항상 정리하는 아이, 순서가 틀리면 난리나는 아이,
엄마한테 잔소리하는 아이
항상 정리하는 아이는 주변이 항상 그 모습 그대로이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그 모습 그대로라는 의미는 안정감과 지금, 그리고
여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과정중심의 사고방식입니다.
순서가 틀리면 난리 나는 아이는 순서를 다 외운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암기력이 좋지 않고서는 그렇게 난리를 피울 수가 없습니다.
엄마한테 잔소리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원래 어찌해야 하는지
순서와 원래 모습이 다 기억나는데 어른인 엄마가 그렇게 안 하니까
오히려 잔소리를 하는 것입니다.
사고지능은 모범생입니다. 어떤 교훈이라도 여과 없이 수용하여
수행합니다. 또한 사고지능이 발달한 아이는 상대방의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지나간 추억도 소중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오래된 물건도 버리지 않으며, 오래된 일기장도 차고차곡 잘도
모아둡니다.
암기가 주가 되는 과목이라도 일단 요점 정리를 하고 나서 암기에
들어갑니다. 그래서 항상 계획표와 스케줄을 짜고 공책을 정리하는데
엄청난 시간을 들이기도 합니다. 조금은 답답한 면도 있지만 순수함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행을 가거나 할 때 이런 사람 하나는 꼭 있어야 합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 온갖 정리를 다 해놓고 여행후기도 어쩌면 그렇게 꼼꼼하게
기록해놓는지 정말 기특하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정리를 하다가
중간에 하나가 빠지면 그 다음 것을 도무지 진행하지 못하는 융통성
없는 성격이라 안타까울 때도 있습니다.
사고지능을 지닌 아이는 세상이 아무리 톡톡 튀어야 한다지만, 일단
공부할 때는 무조건 선생님 말씀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사고지능이 발달한 아이들은 어른들께 사랑받을 만한행동을
많이 해서 칭찬이 자자합니다.
하지만 사고지능이 너무 발달하면 생각만 하느라 도무지 움직일 줄을
모른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만을 조심해야 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처럼 폼 잡는 것을 좋아하니 가만히 앉아서
음악 감상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독서하는 것을 즐깁니다.
그리고 자존심을 건드리는 것을 정말 싫어하기 때문에 존경받을
행동만 하려고 합니다.
♤ 사고지능 200% 활용하기
사고지능은 글쓰기도 잘하고 정리도 잘하고 암기도 잘합니다.
자기 생각을 덧붙이기보다는 순수한 그대로 기록하고, 우너래 모습
그대로 정리하고 들은 대로 외웁니다. 그래서 정말 객관적입니다.
모든 지식은 시대 상황에 따라 변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그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고 인정되는 내용 그대로를 전달해 주는 과정이 꼭
필요한데, 그런 일을 하는 데는 사고지능이 가장 적합한 것 같습니다.
누구나 톡톡 튀려고만 한다면, 박수쳐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이, 모두
무대에 올라 서로 견제만 하는 사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조용히 박수
쳐주는 사람 그리고 조용히 모든 걸 감싸주는 그런 따뜻한 사람이
필요합니다.
사고지능이 발달한 사람은 그렇게 물과 공기처럼 포근한 엄마 같은
사람입니다. 요즘 시대상황으로 보자면, 안 튀어서 오히려 튀는
사람입니다.
♤ 사고지능의 직업능력
사고지능은 교육자 스타일입니다.
우리 사회가 안정되고 원리에 맞게 순서대로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건전하고 모범적인 마인드를 널리
알리려는 사명감으로 교육계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지식의 전달은 개가 먼저 알고 내 것으로 만들 시간이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데, 사고지능은 무조건적인 수용력을 바탕으로 암기하고
오래토록 마음속에서 되짚어보았기 때문에 유창한 말솜씨는 없더라도
잘 가르치는 교육가가 될 수 있습니다.
인식기능과 같은 위치에서 에너지를 '나' 에게로 전달해주는 지능이지만
인식지능의 독특한 파이프와는 달리 사고지능은 그 모습 그대로를
직접적으로 보내줍니다. 상대방이 어떻게 말을 해도 받아들이고 믿어
줍니다. 믿어주는 것만큼 사람을 성장시키는 것은 없으며, 사고지능은
어디서든 격려와 사랑과 가르침으로 사람을 성장시키고 교육시키는
직업스타일로 살아갑니다.
[발췌] 타고난 재능이 최고의 스펙이다 김기승 지음
'진로탐색 > 재능이 최고의 스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지능별 뇌과학적 육아법(지능별 보완점) Ⅰ (59) | 2024.07.23 |
---|---|
잘못된 육아법은 짝사랑일뿐! (60) | 2024.07.22 |
인식지능 자녀의 성격과 행동심리 (60) | 2024.07.18 |
도덕지능 자녀의 성격과 행동심리 (63) | 2024.07.17 |
행동지능 자녀의 성격과 행동심리 (61)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