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적천수(滴天髓)(82)
-
제3장 형상론(形象論) _ 4. 종화(從和) _ 1) 종신(從神)
從得眞者只論從 從神又有吉和凶종득진자지론종 종신우유길화흉 眞從之象有幾人 假從亦可發其身 진종지상유기인 가종역가발기신 따르는 것이 진실하면 종신으로 논하고 종신에도 길흉이 있으며 진종의 상은 몇 사람이 안 되고가종도 역시 발전할 수 있다. 종신從神은 사주팔자에서 기세가 매우 강한 육신을따르는 것으로서 진종眞從은 종신을 거역하지 않고따르는 마음이 진실한 것이며 가종假從은 종신을어쩔 수 없이 따르지만 진실로 따르고자 하는 마음이없는 것으로서 기회를 엿보며 짐짓 따르는 척하는것입니다. 진종의 사주팔자는 흔하지 않으므로 몇사람이 안 된다고 하며 진종은 강한 기세의 종신으로 인하여크게 발전할 수 있으나 운에서 종신의 기세를 거스르면 오히려 종신이 반발하여 큰 재앙을 초래하기도하므로 길하기도 하고 흉하기도 합니다. ..
2025.03.08 -
제3장 형상론(形象論) _ 3. 격국(格局) _ 3) 상관견관
傷官見官果難辨 可見不可見상관견과과난변 가견불가견 상관견관은 결과를 분별하기 어려우며가능할 수도 있고 불가할 수도 있다. 상관견관傷官見官이란 상관이 정관을 극하여 제거하므로 과거 봉건주의 시대에는 정관이 국가이며 관직으로서 무조건 충성하고 순응하여야 하며 부귀를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삶의 수단이었으므로 상관이정관을 극하는 것은 역적에 해당한다고 여겼습니다. 또한 여성의 명조에서는 정관은 남편이기 때문에부인의 상관으로 남편인 정관을 극하는 것은 매우흉악한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나 상관은 비겁의 기세를 설기하여 재성을 생하는 작용을 하고 또한 칠살과 대적하면서 발전하기도 하므로 상관이 무조건 흉한 작용만 하는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결과를 분별하기 어렵다고하는 것이며 때에 따라 상관견관의 작용이 가능하기도 하..
2025.03.06 -
제3장 형상론(形象論) _ 3. 격국(格局) _ 2) 관살혼잡
官煞混雜來問我 有可有不可관살혼잡래문아 유가유불가 관살혼잡을 나에게 묻는다면가능한 경우도 있고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관살혼잡官煞混雜이란 정관과 칠살이 함께 섞여 있는것을 말합니다. 관살이 함께 섞이면 정관이 칠살과작당을 하므로 일반적으로 길보다 흉함이 많다고꺼리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러나 관살혼잡이라고 하여 모두 흉한 것이 아니며사주팔자의 왕쇠강약의 기세에 의하여 길하기도 하고흉하기도 하므로 혼잡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불가능한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관살혼잡에 대하여서는 학자마다 견해가 다르므로아래와 같이 소개하니 참고바랍니다. 원주에서 유백온이 해설하기를살이 관이 되는 경우는 흐름이 같은 무리이므로혼잡하여도 가능하다. 관이 살이 되는 경우는 각각의작용을 하므로 혼잡해서는 안 된다.살이 무거워 관이 따르면 ..
2025.03.04 -
제3장 형상론(形象論) _ 3. 격국(格局) _ 1) 격국(格局)
財官印綬分偏正 兼論食傷格局定 재관인수분편정 겸론식상격국정 影響遙繫旣爲虛 雜氣財官不可拘 영향요계기위허 잡기재관불가구 재관인수를 편정으로 구분하고 식상을 겸하여 격국을 정한다.영향요계는 허황된 것이며 잡기재관에 구애받지 말아야 한다. 적천수의 격국은 재관인수를 편정으로 나누고 식상을 겸하면 편재偏財 정재正財 편관偏官 정관正官 편인偏印 정인正印 식신食神 상관傷官 등의 이름으로격국을 정한다고 합니다.영향요계와 잡기재관은 삼명학에서 유래된고법의격국으로서 합록격 형합격 정란격 조양격 공귀격서귀격 등이 있습니다. 영향影響은 그림자와 메아리이며 요계遙繫는 멀리서끌어와 연결하는 것으로서 사주팔자에 존재하지 않는재관을 허공에서 끌어와 쓰는 것이므로 허황된 것이라고하는 것입니다.잡기재관雜氣財官은 사주팔자에 재관이 없는 경..
2025.02.28 -
제3장 형상론(形象論) _ 2. 방국(方局) _ 2) 방국의 원신
若然方局一齊來 須是干頭無反覆약연방국일제래 수시간두무반복 成方干透一元神 生地庫地皆非福 성방간투일원신 생지고지개비복 成局干透一官星 左邊右邊空碌碌 성국간투일관성 좌변우변공록록 만약 방국이 일제히 오면 모름지기 천간에서 배반하며 거스르는 것이 없어야 한다. 방을 이루고 천간에 하나의 원신이 투출하면 생지와 고지는 모두 복이 되지 않는다.국을 이루고 천간에 하나의 관성이 투출하고 좌우가 공허하면 쓸모가 없다. 방국이 일제히 온다는 것은 월령의 방이 중심이 되어삼합국을 이룬 것으로서 이때 간지에서 국의 형상을배반하며 거스르는 천간이 없어야 한다고 합니다. 가령 午월에 寅午戌삼합으로 火국의 형상을 이루면火방과 火국의 방국이 일제히 온 것이며 천간에丙丁火가 투출하면 火국의 원신이 투출한 것이라고합니다. 그러나 천간..
2025.02.26 -
제3장 형상론(形象論) _ 2. 방국(方局) _ 1) 방국의 혼잡
方是方兮局是局 方要得方莫混局 방시방혜국시국 방요득방막혼국 局混方兮有純疵 行運喜南或喜北 국혼방혜유순자 행운희남혹희북 방은 방이고 국은 국이므로 방과 국이 섞여서는 안 된다.국에 방이 섞이면 순수함에 결함이 있는 것이며행운은 남방을 반기거나 북방을 반긴다. 월령은 방(方)으로서 계절의 환경을 이루는 것이며월령이 중심이 되어 삼합을 이루면 국(局)의 형상을 이루는것입니다. 그러므로 방은 방이고 국은 국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방과 국이 섞여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월령의 계절과 삼합으로 이룬 국의 형상과 오행이 일치하지않으므로 국에 방이 섞이면 오행의 순수함이 훼손되기때문입니다. 가령 寅월은 봄으로서 木방의 기세가 왕성한 것인데寅午戌삼합으로 火국을 이루면 木방과 火국이 섞이므로방과 국의 오행이 섞인 것으로서 ..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