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양식/자작 글(35)
-
삶의 주인공은 자신입니다!
우리의 삶의 주인공은 자신입니다. 그런데 실상은 그렇지 못 합니다.즉 자기가 자기 인생의 주인이 못 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인생을 힘들다고 합니다그러면서 누군가 아니면 어떤 대상으로핑계거리로 삼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남편(아내)때문에 못 살겠다’,‘직장상사 때문에 못 살겠다’,‘아이들이 말썽을 피워 못 살겠다’,‘사업이 안 되어 못 살겠다’,‘돈 때문에 못 살겠다’ 등의 말을우리는 입버릇처럼 달고 살아가며자신이 삶의 주인공이 되지 못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르게 생각하면 나 자신보다다른 특정 대상에 의존하면서 살아가고 있다고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살다가 더욱 힘든 상황이 되면우리는 ‘전생’ 탓하거나 ‘신’을 탓하게 됩니다 즉 ‘전생에 무슨 죄를 지어 이런가?’,아니면 ‘내 팔자가 왜 이..
2024.10.15 -
목표달성 = 재능 X 노력의 제곱
메이저리그 148년만에 일본의 오타니가50홈런과 50도루라는 경이적인 기록을세웠다. (홈런54개, 도루 59개) 누구는 오타니가 다른 선수들 보다재능이 뛰어나서 대기록을 세웠다고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오타니는 그렇지 않았다. 분명 야구에 대한 재능은 일반인보다뛰어난 것은 분명하였으나누구보다 몇 배의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이런 대기록을 세우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재능보다 노력이 목표 달성에 있어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심리학자들도 이구동성으로 이야기를 한다 재능이 다른 사람의 두배라고 해도다른 사람보다 노력을 절반밖에 하지 않을 경우시간이 지나면 노력하는 사람에게압도적인 차로 뒤처질 것이다.그래서 노력에는 과하다는 표현을잘 사용하지 않는다 오타니의 말을 인용하자면“저의 ..
2024.10.10 -
진정한 행복한 삶이란?
인간은 모두 행복한 삶을 추구한다 그런데 행복한 삶이 무엇이냐고물으면 대답을 잘 못 한다 어쩌다 하는 이야기는남보다 좋은 것하고, 좋은 것 먹고 등의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 속에는 남들과 경쟁을 해서 이기겠다는마음이 내포되어 있다 이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경쟁사회라는 것을 절실히 말해 주는 것이다. 또 좋은 것을 하고 좋은 것을 먹는다고 한다 여기에 좋은 것은타인을 위한 이타심과 배려심보다개인의 즐거움을 찾겠다는 마음이다 그리고 좋은 것을 먹는다는 것은맛있는 음식을 먹겠다는 이야기인데맛있는 것은 보편적으로 건강에 좋지 않은 것이 많다그럼 우리 건강만 해칠 뿐이다 그래서 우리는 행복한 삶을추구한다고는 하지만 참 어려운 삶이라는 것이다! 그럼 진정 행복한 삶은 무엇일까?필자도 오랜 기간 동안 생각해 보..
2024.09.26 -
“욕을 많이 먹을수록 오래 산다?”
옛 말에 욕을 많이 먹으면 오래 산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 이야기는 욕 많이 먹은데 누가 기분이 좋고 화병이 나서 오래 살겠습니가? 이는 다만 좋은 방향으로 해석했을 뿐! 즉 이 이야기에 앞 구절이 빠져 있다는 것입니다 “좋은 일하고도 욕을 먹으면 오래 산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자신이 부끄럽지 않고 당당하게 모든 일과 과정을 처리하였지만 외부에서 오해를 하고 욕을 한다면~~ 그것을 굳이 해명하지 말고 “저 사람은 저렇게 해석할 수 있구나!” 라고 욕을 하는 사람의 입장이 되어 이해를 해 주고 당당하게 받아들인다면 언젠가 그 오해는 풀리게 되어 그 사람은 나를 더욱 긍정적이고 좋게 보아 칭송과 칭찬을 들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꼭 칭찬과 칭송이 아니더라도!) 그래서 우리는 가끔 삶..
2024.09.23 -
자녀에 대한 진정한 사랑!
최근 '유어 아너'라는 TV드라마를 보았다. 그 드라마 마지막 장면에서주인공 남자(아버지) 2명이 나눈 이야기에서 "가장 소중한 것을 지키려다가장 소중한 것을 잃게 되어 버렸다"라는대사가 기억에 남는다. 왜일까?상황은 다소 다르겠지만현재 대한민국 부모들은부모들의 가치관과 사회 풍속에 따라자녀에 대한 사랑이 너무 유별나다. 한마디로 20세가 넘은성인인데도 불구하고'무조건적 사랑'이다. 또한 자녀에 대한 '무한 사랑'은자녀에 대한 기대로 변질되어자녀와 항상 심리적 갈등을초래하게 된다. 부모가 자녀에 대한 사랑은당연하다고 본다 하지만 사랑의 정도가 지나쳐자녀를 망치는 사례를 주위에서많이 보곤 한다. 한 예로 자녀가 성인 되고 군대도 다녀오고나이가 30인데도 불구하고아직 제대로 사회생활을 못하고부모 집에서 ..
2024.09.20 -
복(福)
아래의 글은 법륜 스님의 말씀 중에너무 좋아 공유하고자 작성해 보았습니다.읽어 보시고 "마음이 행복한 하루"가 되었으면 합니다!행복하세요!=============================================== 모든 사람은 福을 받고 싶어 합니다. 福을 받고 싶다는 마음은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福을 받고 싶다고福이 받아지는 것이 아닙니다. 즉 福을 받고 싶다고 福이 받아지면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얼마나 행복할까요! 그래서 福을 받으려면福을 지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콩 심은데 콩 나고팥 심은데 팥이 나듯이','가는 말이 고와야오는 말이 곱듯이'자연의 현상과 같습니다. 심지 않고 거두기만 하려니거둘 것이 없어사람들은 괴로워하고불행하다고 여기는 것입니다. 그래서 福을 짓지 않았으며..
20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