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8. 09:25ㆍ진로탐색/명리와 직업선택

♤ 가드너의 다중지능
하버드 대학의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박사는
지능을 '여러 문화권에서 가치 있다고 인정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또는 특정 문화 상황에서 가치 있게 여
기는 산물을 창조해 내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가드너 박사는 인간의 지능을 주관적 요인분석
(subjective factor analysis)에 의해 8개의 다중지능으로
분류하였다. 각 지능들은 하나의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상호작용을 하지만 하나의 지능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다른 지능도 손상되는 것이 아니라 지능은 각각 독립
적이라고 하였다. 또한 한 개인의 지능이 얼마나 실현
될 수 있는지는 환경에 달려 있으며 개별화된 교육
과정과 수행평가를 통한 지능평가를 주장하였다.
8개의 다중지능과 그 외의 지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언어적 기능(Linguistic Intelligence)
- 단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말과 글로 표현)
- 언어를 이해하고 실용적 영역을 조작하는 능력
② 논리수학적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 숫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
- 사물 사이의 논리적 계열성을 이해하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측정하고 사정하는 능력
③ 공간적 지능(Spatial Intelligence)
- 방향감각, 시각, 대상을 시각화하는 능력
- 색, 줄, 형태, 구조와 관련된 지능으로 사물을 인지
하는 능력
- 내적인 이미지와 사진과 영상을 창출하는 능력
④ 신체운동적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 신체의 운동을 손쉽게 조절하는 능력
- 손을 사용하여 사물을 만들어 내고 변형시키는 능력
⑤ 음악적 지능(musical Intelligence)
-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직관적 이해와 분석적이고
기능적인 능력
(음에 대한 지각력, 변별력, 변형능력, 표현능력)
⑥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 다른 사람의 기분, 의도, 동기, 느낌을 분별하고
지각하는 능력
- 타인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변화에 대해 유추하는
능력
- 감각과 대인관계의 암시를 구별해내는 능력
- 실용적 방식으로 암시에 반응하는 능력
⑦ 자기이해 지능(Intrapersonal Intelligence)
- 자아를 이해하는 데 관련된 지식과 그 지식을
기초로 적응하는 능력
- 자신에 대해 정확히 알고, 그에 따른 자아 훈련,
자아이해, 자존감을 위한 능력
- 메타인지, 영혼의 실체성 지각 등 고도로 분화된
감정들을 알아내어 상징화하는 능력
⑧ 자연탐구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
- 사물을 구별하고 분류하는 능력과 환경의 특징을
사용하는 능력
- 분별-대처 기능으로 사물을 분별하고 그 사물과
인간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대처기능
⑨ 실존 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
- 인간의 존재 이유, 생과 사의 문제, 희로애락, 인간의
본성, 가치 등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
- 처음에는 영적 지능(spiritual intelligence)으로 불렸던
것으로 철학적이면서 상당히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지능은 해당되는 뇌의 부위가 없을
뿐 아니라 아동기에는 이 지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가드너는 다른 여덟 가지 지능과 달리 반쪽
지능으로 여기기도 한다.
이 외에 새롭게 제기될 수 있는 지능으로는 도덕적
감수성(moral sensibility), 성적 관심(sexuality), 유머
(humor), 직관(intuition), 창의성(creativity), 요리능력
(culinary (cooking ability)), 후각능력(olfactory perce
ption (sense of smell), 타 지능을 분석하는 능력 등도
새로운 지능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워드 가드너 박사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경제학자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와
교육학자 '월리엄 데이먼(William Damon)'과 함께
저술한 「Good Work」에서 냉혹한 시장 중심의 사회
에서 우리가 훌륭한 직업인으로 성공하려면 가장
기본적인 두 가지, 즉 윤리 성과 유능성을 갖춰야
한다고 하였다.
서울대학교의 문용린 박사는 그의 저서 「지력혁명」
에서 '경쟁의 시대가 가고 공존과 협력의 새 시대가
다가온 것이다. 최근 개인적인 능력이나 지식보다는
인성이나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기업의
신입 사원 선발 방식이 획기적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라고 하였다.
♤ 전통지능이론과 다중지능이론의 비교
하워드 가드너 박사의 다중지능 이론은 단순한 지적
능력 이상의 개념이며 사회적 성공과 윤리성을 동시
에 겸한 지능이론이다. 전통적 개념의 지능이론과
다중지능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전통적 지능이론과 다중지능 이론의 비교>
전통적인 지능 이론 | 다중지능 이론 |
지능은 단답형 검사로 측정 가능 |
다중지능은 단답형 검사로 측정 불가능 |
지능은 한 가지 척도로 측정 가능 |
사람마다 모든 지능을 가지고 있으나, 지능의 발달 정도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 |
사람의 지능은 불변하며 한 사람의 능력을 총체적 으로 지배 |
모든 사람은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지능의 향상 속도는 사람에 따라 다름 |
지능은 논리적 능력과 언어 적 능력으로 구성 |
8가지 지능 이외에도 많은 지능이 존재 가능 |
전통적인 교실에서는 모든 학생들에게 똑같은 학습 자료를 가지고 가르침 |
다중지능이론을 응용한 교실에서는 개별학습이 실시되어야 함 |
전통적인 교실에서 교사 들은 '주제'나 '교과'를 가르침 |
다중지능이론을 응용한 교실에서는 학습활동을 재구성하며 학생들의 독특한 특성에 가치를 둠 |
[출처] 명리와 직업선택 김기승, 정경화 지음
'진로탐색 > 명리와 직업선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와 성격심리 _ 1. 성격이론 (6) | 2025.03.21 |
---|---|
선천지능과 다중지능의 비교분석 (4) | 2025.03.20 |
명리 선천지능이론 (17) | 2025.03.13 |
사주와 좌·우뇌 발달 분석 (3) | 2025.03.13 |
지능의 조건과 두뇌영역 (6)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