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적성상담(510)
-
제4장 기세론(氣勢論) _ 6. 순반(順反) _ 2) 군뢰신생(君賴臣生)
君賴臣生理最微 군뢰신생리최미 군주가 신하에 의지하여 사는 이치가 가장 미묘하다. 군뢰신생君賴臣生은 군주가 신하에게 의지하여 산다는것으로서 오행의 순리에 반하는 국을 형성하므로반국反局이라고 합니다. 가령 木이 군주이면 土가 신하인데 이때 水의 기세가강하여 木이 이를 감당하기 어려우면 수다목부水多木浮가 되어 木이 물에 떠내려가므로 土가 水를제어하여木을 구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군뢰신생에 대하여서는 학자마다 견해가 다소 다르므로아래와 같이 소개하니 참고바랍니다. 원주에서 유백온이 해설하기를木이 군주이면 土는 신하이다. 水가 범람하면 木이 뜨는데土가 水를 막아 木을 살리는 것이다. 木이 왕성하면 火가치열하므로 金이 木을 베어 火를 살리는 것이다. 火가 왕성하면 土가 타는데 水가 火를 극하여 土를 살리는것이다..
2025.04.23 -
그리스 신화의 최고신(목성) – 제우스(Zeus)
☞ 제우스(Ζεύς, Zeus)는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의 주신(主神)이며 하늘과 번개, 질서, 정의를 관장하는 신입니다. 그는 신들과 인간 세계를 통치하며, 강력한 권력을 가진 존재로 묘사됩니다. 또한, 많은 신과 영웅 들의 아버지로서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① 제우스의 가계와 탄생 - 부모 : 크로노스(Cronos, 시간의 신)와 레아(Rhea, 대지의 여신)- 형제 : 하데스(Hades, 저승의 신), 포세이돈(Poseidon, 바다의 신), 헤라(Hera, 결혼과 가정의 여신), 데메테르 (Demeter, 곡물과 풍요의 여신), 헤스티아(Hestia, 가정과 화로의 여신)- 제우스의 탄생과 크로노스의 예언 · 크로노스는 자신의 ..
2025.04.23 -
봄비_(자작 詩)
고요히 스미는 봄비묵은 먼지를 씻어 내리고마른 가지 끝에 새 숨결 틔우네 하늘과 땅 사이은은히 흐르는 생명의 기운부슬부슬 온 천지를 적시네 말 없이 내리는 봄비에풀잎은 고개 숙여 응답하고,한 방울, 또 한 방울엄마가 잠을 깨우듯 씨앗의 문을 두드리네 무심한 듯 흘러도그 속엔 생명의 기운이 돌고만물은 다시 피어나자기 자리를 찾아가네 비 내리는 봄날,나는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나의 마음을 펼쳐본다혹 비처럼 조용히 스며든 뜻이 있는지~~~ 詩 / 원강(沅杠) 씀 ※ 어제 봄비가 하루종일 내려 시를 적어 보았습니다.
2025.04.23 -
♤곡선의 미학♤
곧게 자란 소나무보다 굽은 소나무가 더 멋지고잘 생긴 강아지보다 성격 좋은 강아지가 더 멋지다.똑바로 흘러가는 냇물보다 굽어 흘러가는 냇물이 더 정겹고똑 부러지게 사는 삶보다 좀 손해 보는 듯 사는 삶이 더 정겹다.일직선으로 뚫린 탄탄대로보다 산 따라 물 따라 돌아가는 길이 더 아름답듯최선을 다하는 사랑보다 배려하는 사랑이 더 아름답지 않더냐사노라니 진정한 강자는 힘센 사람이나 지위 높은 사람도 아니고 재산 많은 사람도 아니고 언제나 가슴 둥글고 따뜻한 사람이다.아프지 않는 것이 제일이요,만족할 줄 아는 것이 인생 최고의 부자라고 했습니다.오늘도 따뜻한 사람,건강한 사람,만족할 줄 아는 인생 최고의 부자 되시기 바랍니다. - 오늘도 福 짓는 하루 되소서! -
2025.04.23 -
제8장 명리와 학과적성 분류 _ 2. 사주와 학과전공 계열의 연관성
2. 사주와 학과전공 계열의 연관성 사주와 전공학과는 직업을 선정하는 과정과 동일한과정을 거친다. 직업과 전공이 일치해야 직업만족도도높다. 전공이란 내가 원하는 직업을 위해 필요로 하는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숙련하는 과정이다. 사주는 한 사람의 성격과 취미는 물론 적성과 소질에도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사주에서 우선적으로 계열을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며2차적으로 분류된 계열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흥미와의지가 반영된 다음 차우 전공을 활용할 수 있는 배경이나 환경까지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아래는 오행별로취할 수 있는 지식활용의 방향성으로 학과 선택시참고할 수 있다. 1) 오행과 십성의 계열 분류 ■ 오행의 지식 木 - 교육, 문화, 언론, 신문, 방송, 문자, 표시, 지시, 방향 火 - 어문학, ..
2025.04.21 -
제4장 기세론(氣勢論) _ 6. 순반(順反) _ 1) 종아(從兒)
一出門來只見兒 見兒成氣構門閭 일출문래지견아 견아성기구문려 從兒不論身强弱 只要吾兒又遇兒 종아불론신강약 지요오아우우아 문을 나서는 자식만 바라보는데 자식이 기세를 이루고나타나면 일간은 강약을 불론하고 자식을 따르며오직 내 자식이 자식을만나야 한다. 월령에서 식상국의 형상을 이루면 일간의 자식이 기세를이룬 것이며 식상이 월령에서 투출하면 세상에 나아가출세하기 위하여 문을 나서는 자식으로 비유한 것입니다. 가령 甲木일간인데 오월에 寅午戌삼합으로 식상국을이루면 일간의 자식이 기세를 이룬 것이며 월령에서丙丁火식상이 원신으로 투출하여 식상국을 이끌면일간의 자식이 월령의 문을 나서는 것입니다. 일간의 입장에서 식상은 자식과 같으므로 일간은 자신의기세의 강약에 불구하고 식상국의 기세를 이룬 자식을따른다고 합니다. 이..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