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양식/마음의 수행(36)
-
심려(心慮)
[안 되는 일에 마음을 쓰지 말라] 마음의 즐거움은 얼굴을 빛나게 하지만, 근심은 사람의 뼈도 상하게 한다. 마음을 잘 지키는 자가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낫다. 마음에서 생명이 나오며, 마음에서 건강도 나오고, 마음에서 성공과 장수도 나오기 때문이다. 마음이 아프면 궁궐도 좋은 줄 모르나 마음이 즐거우면 초가삼간에서도 만족한다. 이러한 마음을 상하게 하는 제일 중요한 적은 심려다. 심려는 아무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 '인생은 고해' 라는 부처님의 말씀처럼 우리가 매일매일 생기는 근심 거리를 다 마음속에 뿌리를 내리게 한다면 마음의 짐이 너무 무거워 견디지 못한다. 소중한 사람이 떠나고, 아끼던 물건을 잃어버렸을 때 잃어버렸다고 생각하지 말고 원래의 자리로 돌아갔다는 사실을 바로 보면..
2024.04.17 -
영혼의 상태와 성품(性品)
영혼의 상태를 드러내 주는 것은 성품이다. 성품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표현된다. 즉 성품은 인간관계를 통해서 드러나는 영혼의 모습이다. 영혼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당신의 성품은 당신의 영혼이 얼마나 성장 했는지를 보여준다. 우리에게 인간관계가 필요하고, 공동체가 필요하고, 역할과 책임이 필요한 것은 그러한 것들이 우리의 성품을 가꾸고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선택하고, 그 선택에 따라 행동하고, 그 행동의 결과를 평가한다. 그 과정은 우리에게 자신을 돌아볼 기회를 주고, 미래에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는 지혜를 키워준다. 이렇게 선택하고 행동하고 돌아보고 다시 선택하는 과정에서 생각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고, 습관이 바뀐다. 인간관..
2024.04.15 -
삶의 교훈
보지 않았거든 보았다 하지 말고,듣지 않았거든 들었다 하지 말라.그릇된 선입견이 너의 눈을 멀게 하고 요망한 세치 혀가 너의 입을 갉는다.겉이 화려하다고 그 사람 생활까지 요란한게 아니며 차림새가 남루하다고 그 사람 지갑까지 빈곤한 것은 아니다.그 사람과 말 한마디 섞어 보지 않았다면 너의 낮은 눈으로 너의 작은 그릇으로 그의 점수를 평하지 말라너 또한 나 또한 완벽치 않은 인간이다. 사람들은 입 때문에 망하는 사람들이 많다.칭찬에 발이 달려 있다면 험담에는 날개가 달려 있다나의 말은 반드시 전달된다.그 사람에 대해 알지도 못하면서 추측을 하고 단정을 하며 말을 지어내고 또 소문을 내며 남의 험담을 함부로 하지 말라남의 험담을 하는 것은 곧 그 사람을 부러워 하고 시기 질투하는 것 밖에는 되지 않는다.너..
2024.04.04 -
동행하는 마음
어리석은 개미는자기 몸이 작아 사슴처럼빨리 달릴 수 없음을 부러워하고,똑똑한 개미는자신의 몸이 작아서 사슴의 몸에붙어 달릴 수가 있음을자랑으로 생각한다.어리석은 사람은스스로의 단점을 느끼면서슬퍼하고,똑똑한 사람은자기 장점을 찾아내어 자랑한다.화내는 얼굴은아는 얼굴도 낯설고,웃는 얼굴은모르는 얼굴이라도 낯설지 않다.찡그린 얼굴은예쁜 얼굴도 보기 싫고, 웃는 얼굴은미운 얼굴이라도 예쁘게 보인다.고운 모래를 얻기 위해 고운 체가 필요하듯, 고운 얼굴을 만들기 위해서 고운 마음이 필요하다.매끄러운 나무를 얻기 위해잘드는 대패가 필요하듯이,멋진 미래를 얻기 위해서는현재의 노력이 필요하다.욕심이 많은 사람은자신의 연장을 두고서 남의 연장을 빌려 쓴다. 그러다 그만 자기 연장을녹슬게 하고 만다.어리석은 사람은자기 혼..
2024.03.29 -
수행(詩)
인생은 수행을 위하여 왔다네 이 세상은 깨달음의 수련장 인내와 용서와 사랑은 의식의 성장과 깨달음의 지름길 나에게 주어진 육체와 인간 관계, 나의 성격 그리고 모든 환경과 시간 이것은 임께서 주신 숙제이며 사랑이네 나무는 거친 땅에 태어남을 탓하지 않고 종자가 무엇이든 환경이 어떠하든 어떻게 쓰여지든 인내하며 용서하며 조화를 이루므로 사명을 다하네 산은 신령하고 아름다운 것은 어느 나무든 분별하지 않고 비는 비대로 바람은 바람대로 천둥은 천둥대로 눈이 오면 눈을 맞으며 모든 동물을, 사람까지 포용하며 인내와 용서와 사랑을 우리에게 보여 주기 때문이네 [출처] 타오, 나를 찾아가는 깨달음의 여행 이승헌 지음
2024.03.28 -
인간의 감정(感情)과 장기(臟器)_동양의학 차원
우리의 감정 변화는 장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동양의학에서는 특정 감정이 특정 장기와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지나치게 화를 내면 간이 상하고, 지나치게 기뻐하면 심장이 상하고, 지나치게 걱정과 생각이 많으면 위가 상하고, 지나치게 슬퍼하면 폐가 상하고, 지나치게 두려워하면 신장이 상한다. 또 반대로 장기의 건강 상태가 감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간이 쇠약하면 짜증과 화를 잘 내고, 심장이 약하면 실 없이 잘 웃는다. 위가 약하면 근심걱정이 많고, 폐가 약하면 조그마한 일에도 우울해하고 슬퍼한다. 신장이 약하면 작은 소리에도 놀라고 두려워한다. 감정은 장기뿐만 아니라 얼굴 표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슬픔과 두려움, 걱정의 에너지가 많은 사람은 평소에 얼굴 표정에서도 그런 에너지가 나온다. 반면에..
202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