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16. 05:39ㆍ진로탐색/현대사주심리학

남자의 연애심리를 십성으로 추론해 보면, 남자의 사주에
비겁이 많으면 예쁜 여자를 좋아하고 경쟁 구도에서 미인을
쟁취하려는 욕망이 크고, 식상이 많으면 건강하고 몸매가
좋은 여자를 이상형으로 삼고, 자기보다 어린 여자를 좋아
한다.
남자 관점에서 처성(妻星)에 속하는 재성이 많으면 주변에
여자는 많지만, 정작 자기 여자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관성이 많으면 애교가 많은 여자를 좋아하고, 인성이
많으면 결혼을 하고 나서 부인과 사이가 틀어질 수 있고
연상의 여인을 좋아한다.
1) 남자의 사주를 통해 본 연애 심리
(1) 식상이 없는 남자
● 재성을 향해 가는 혹은 스스로 여자에게 행동을 취하는
통로가 없다.
● 자신은 여자에게 잘한다고 생각하지만, 여자는 느끼지 못한다.
● 여자에게 마음과 행동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지 못한다.
● 센스가 없고, 재미도 없고, 표현방식이 지루해서 여자에게
인기가 없다.
● 여자가 뭘 원하는지, 뭘 바라는지 알아차리지 못한다.
● 비겁은 많은데 식상이 없으면 배려와 서비스가 부족하다.
힘만 세고 스킬이 없는 셈이다.
● 식상은 성적 욕망이고, 재성은 상대방이고, 관성은 그 결과인
임신이자 자식이 된다.
(2) 식상이 많은 남자
● 재성으로 향하는 통로가 많아서 여자에게 잘해주는 것이
지나친 사람이다.
● 여자에 대한 서비스 정신이 투철해 여자가 부탁하면 다
된다고 말하는 사람이다.
● 관성을 극하니 직장은 안 가고, 여자에게 한눈 팔다가 신세
망치는 경우가 있다.
● 여자가 많다는 관점에서 재성이 많은 남자와는 완전히 다르다.
(3) 재성이 없는 남자
● 내 여자가 없는 형국이므로 여자의 내조를 받거나 진정한
사랑을 받기 어렵다.
● 재성이 거의 없고 지장간에 약하게 숨겨진 남자는 전형적인
바람둥이 사주이다.
● 재성이 없다는 것은 정해진 자기 여자가 없는 것이므로 어디
가서 정을 줄지 모른다.
● 식상도 약하고 재성도 약하면 여자에게 내 뜻을 전할 길이
없어서 평생을 헤맨다.
● 남자가 재성이 약하면 잘해줘도 알지 못하고 서로 구박하며
핑계를 대다고 끝난다.
● 여자가 없는 것과 같으니 일지 배우자궁이 좋아야 해로한다.
● 재성이 없는 남자가 배우자궁까지 기신이면 여자 인연이
정말 어렵다.
● 뿌리도 없는 재성이 천간에 있다가 충극을 당하면 배우자와
생사 이별한다.
(4) 재성이 많은 남자
● 재성이 많다고 바람둥이는 아니다. 여자가 주변에 많을 뿐이다.
● 재성은 많고 일간이 약한 재다신약을 우유부단하고 소심한
남자이다.
● 재성은 힘이 센 것이므로 처가 집안을 휘두르거나 부인이
더 활달한 사람이다.
● 재성은 세고 일간이 힘이 약하면 처가 두렵고 밤이 무섭다는
남자도 있다.
● 재성이 많으면 한눈을 파는 것이 아니라 부인의 욕망을 다
채우지 못해서 떠난다.
● 재다신약은 겉으로는 몰라도 속으로는 상당히 여자에게 의지
하는 유형이다.
● 재다신약은 처의 비서 생활, 일명 셔터맨으로 미용사, 약사 등
전문직을 선호한다.
● 재성이 인수를 극하므로 은근히 남의 말을 잘 안 듣고 고입이
세다. 그래서 공처가이다.
● 재성이 많아서 바람이 피는 남자는 식상도 많고 재성도 많은
식상생재의 경우이다.
(5) 관성이 없는 남자
● 관성이 없으면 여자랑 함께 결과를 못 이루는 것이므로
여자에게 무시당한다.
● 관성이 없으면 남자는 일생 사귈 여자가 많지 않은 편이다.
● 재성이 있어도 관성이 없으면 좋은 여자를 못 얻으므로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
● 재가 생활 관이 없으면 여자가 할 일이 없고, 여자의 내조가
내게 미치지 않는다.
● 관성이 없으면 여자의 섬세한 서비스를 못한다.
● 신강조건과 관성조건은 여자를 옆에 둘 수 있느냐 없느냐의
조건이 된다.
(6) 비겁이 많은 남자
● 소유욕이 강하고 자신의 에너지가 충분하니 재를 갖고 싶어
하는 남자이다.
● 비겁이 많으면 예쁜 여자를 좋아하고 질투심도 많다.
● 시작하면 끝을 보는 성미라 마음에 드는 여자를 보면 일찍
결혼한다.
● 책임감이 강해서 잘해주지만, 이기적이고 우월감을 감추지 않는다.
● 비겁이 태과하면 처와 여자가 약하거나 단명한다.
● 비겁이 태과한데, 관성과 인성이 없으면 여자에게 폭력을 행사한다.
● 비겁이 태과하면 여자보다 친구가 우선이고, 자랑하고 비교하려고
예쁜 여자랑 사귄다.
● 비겁이 쟁재하면 이혼 가능성도 높고, 재혼 확률도 높다.
● 겁재가 일간과 무정하고 쟁재하면 처와 재복이 없다.
● 비겁은 재성에게는 관이고, 관성에게는 재이므로 남녀 모두
상대의 바람에 주의한다.
[참고] 여자친구의 유복 추론
● 남자의 사주가 신강하면서 재성도 왕하면 좋은 여자를 얻는다.
● 남자의 사주가 재격이면서 식상생재가 잘 되면 좋은 여자를 얻는다.
● 남자의 사주가 신약해도 재생관이 잘 되면 좋은 여자를 얻는다.
● 남자의 사주가 일지가 용신이거나 희신이면 좋은 여자를 얻는다.
● 남자의 사주가 재성이 용신이거나 희신이면 좋은 여자를 얻는다.
2) 운에 따른 남자의 연애 행동
(1) 연애가 시작되는 운
● 재성운에 연애를 할 것 같지만 내가 약하면 재성이 와도
여자가 많을 뿐이다.
● 식상생재의 사주구조가 강화되는 운에 연애를 시작한다.
● 재생관의 사주구조가 강화되는 운에 연애를 시작한다.
● 비겁운은 연애운으로서는 반반이다. 욕망이 생겨도 다른
구조가 맞아야 한다.
(2) 운에 따른 연애 행동
① 식상운
● 내가 스스로 자유롭게 욕구에 따라 연애한다.
● 일간의 에너지를 분출하므로 여자에게 잘해주고 싶은 욕구가
강해진다.
● 유약한 여자를 보면 마음이 더 가고 책임지고 싶어진다.
● 식상운은 재성을 생하므로 연애도 잦아지고 일상이 모두
바빠진다.
② 재성운
● 관성이 있을 때 재성운이 오면 여자의 도움을 받는다.
● 여자가 나의 체면을 세워주므로 그 여자를 옆에 두고 싶어 한다.
● 식재관의 흐름이 원활해지면 여자를 통해 자식을 얻고자
결혼을 계획한다.
③ 관성운
● 재성이 있을 때 관성운이 오면 결혼을 통해 명예와 권위를
얻고자 한다.
● 관성운은 여자에게 서비스를 받고 싶어지는 운으로 여자에게
받들어지길 바란다.
● 집안에서 받들어지지 않으면 밖에서 애교 많은 여자를 찾고
바람이 난다.
④ 인성운
● 정신적인 사랑, 플라토닉 러브를 하는 운이다.
● 여자를 위해 집을 마련하거나 새로운 준비를 하는 운이다.
● 여자가 좋아하는 것을 많이 해 주는 시기이다.
⑤ 비겁운
● 하룻밤의 정사, 원나잇 스탠드를 꿈꾼다.
● 가볍게 연애하고 짧은 인연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 내 일간의 힘이 커지니 욕구가 강해져 여자를 원하는 운이다.
● 원래 있던 재성을 극하면서 여자를 원하므로 이혼과 재혼 등이
일어난다.
3) 일지(日支)의 배우자궁과 부인관계
(1) 배우자궁으로서 일지의 의미
● 일지는 남녀 모두에게 현재 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의미한다.
● 물건이든 인간이든 정신이든 소유하고 가까이 두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배우자가 머물게 되는 공간이 되므로 배우자궁이라 부른다.
● 배우자궁의 모습을 살펴 배우자의 그릇 크기를 판단한다.
● 배우자궁은 배우자 복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2) 배우자궁의 조후 문제
● 일지의 조후는 부부관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 일지의 조후는 자신의 환경이기도 하며, 배우자가 머무는
환경이기도 하다.
● 더운 집인지, 추운 집인지, 건조한 집인지, 습한 집인지를
출생월과 대조 비교한다.
● 조후가 안 되면 그 집에서 살기 싫고 이사 가고 싶으니
부부 사이에 갈등이 많다.
● 배우자궁의 조후는 부부의 성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조후가 맞아야 좋다.
● 월지와 일지가 모두 한랭하면 성생활을 피하고, 모두 조열한
것도 만족감이 떨어진다.
● 배우자궁의 조후가 깨지면 외도를 하거나 별거를 하게 된다.
[참고] 배우자궁을통해 본 상대의 모습
● 일지가 비견이면 상대가 친구같고 나에게 크게 얽매이지 않는 여자이다.
● 일지가 겁재이면 비견과 동일한데, 상대의 외정을 경험할 확률이 있다.
● 일지가 식신이면 상대가 순정파의 여자이고 몸집이 후덕하다.
● 일지가 상관이면 상대가 멋을 부리고 애교 있는 여자이나 비위를
맞추기가 어렵다.
● 일지가 정재이면 상대가 꼼꼼하고 착한 여자이다.
● 일지가 편재이면 상대가 기분파이며 씀씀이가 크고 활동이 왕성한
여자이다.
● 일지가 정관이면 상대가 바르고 정직한 틀에서 살아가는 여자이다.
● 일지가 편관이면 상대가 자기 마음대로 하고 사는 호탕한 여자이다.
● 일지가 정인이면 상대가 엄마같이 자상한 여자이다.
● 일지가 편인이면 상대가 까다롭거나 변덕스러운 여자이다.
[발췌] 현대사주심리학 김기승, 나혁진 지음
'진로탐색 > 현대사주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12 - 3 .남녀의 성생활 만족 심리 (9) | 2024.10.21 |
---|---|
Chapter12 - 2. 여자의 연애심리 (23) | 2024.10.17 |
Chapter12 - 연애심리와 사주분석 (12) | 2024.10.14 |
Chapter11 - 5. 인성의 기록·심미본능 행동 심리 (10) | 2024.10.11 |
Chapter11 - 4. 관성의 서열·결정본능 행동 심리 (7)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