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자평진전(子平眞詮)

제37장 식신격(論食神)

沅杠(원강) 2024. 11. 6. 06:12
반응형

1. 식신(食神)의 특징과 식신생재(食神생生財)

 
식신은 본래 설기(洩氣)하는 기운에 속하며 재성을 生하는
능력이 있으니 식신을 기쁘게 여겨왔다. 그래서 식신생재
(食神생生財)는 아름다운 격에 속한다.
 
이 경우 재성은뿌리가 필요한 것이지, 정·편재가 여럿이
투출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신강하고 식신이 왕하며
재성이 투출했다면 대귀격(大貴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癸, 癸亥, 癸 양승상(梁承相)의 명이
그러하다.  

 
己未, 壬, 子, 庚申 사각로(謝閣老)의 명이 그러하다.
 
 

2. 장식노상(藏食露傷), 편정첩출(偏正疊出)

 
① 식신은 지지에 암장되고 상관이 천간에 노출됐다면
    사주체 주인의 성품은 매우 강성이다.

 
예를 들어 亥, 癸, 癸, 甲寅 심로분(沈路分)의 명이
그러하다.
 
② 또한 편재, 정재가 거듭 투출하면 부귀(富貴)가 크지 않다.

 
예를 들어 , , 癸, 공지현(龔知縣)의 명이
그러하다.
 
 

3. 하목용재(夏木用財)

 
여름()에 태어난 일간이 재성 를 용신하면 ··
生財하니 는 뜨겁고 는 건조하다. 무인(武人)에 종사하고
귀함이 많을 것이다.

 
예를 들어 己未, , 甲寅, 황도독(黃都督)의 명이
그러하다.
 
 

4. 식용살인(食用煞印)

 
① 만약 재성을 쓰지 않고 칠살과 인성을 취했다면 가장
    좋고 위엄과 권력이 빛나게 드러날 것이다.

 
예를 들어 , , 癸, 己未 상국공(常國公)의 명이
그러하다.
 
② 만약 인수가 없고 편관이 하나만 노출됐다면 재성이
    없는 것이 중요하며 그래야 귀격이 된다.

 
예를 들어 戊戌, 壬, 子, 戊戌 호회원(胡會元)의 명이
그러하다.
 
 

5. 금수식신용살(金水食神用煞), 하목용인(夏木用印)

 
① 만약에 金水 식신격이 칠살을 사용하면 귀하고 
    빼어나다.

 
예를 들어 亥, 壬子, , 서상서(舒尙書)의 명이
그러하다.
 
② 식신격에서는 인성을 꺼리지만 여름에 火 식신이 
    지나치게 뜨거우면 木 일간이 타버리는 것이니 水
    인수가 투출해도 장애가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丙午, 癸, 子, 전참정(錢參政)의 명이
그러하다.
 
③ 식신격에서는 정관을 꺼리지만 金水 식신격은 꺼려하지
    않으니 金水 상관격은 정관을 보아도 된다.
 
 

6. 단용식신(單用食神)

 
만약에 식신을 단독으로 사용하려면 식신의 기운이
좋아야 하는데 재운이 오면 부자가 되고 재운이 없으면
가난하게 된다.
 
 

7. 인수탈식(印綏奪食), 관살경투(官煞競透)

 
① 인성이 식신을 강탈하려 할 때 재성이 투출하여 해결하면
    역시 부귀를 누릴 수 있는데, 모름지기 사주 전체의 형세를
    보고 판단하여야 한다.
 
② 한편, 식신격에 관살이 경쟁하듯 투출하면 격(格)을 이룰
    수는 있으나 심히 귀하지는 않다.
 
 

8. 식신합살(食神合煞)

 
식신격에 칠살은 合하고 재성이 남는다면 최고의 
귀격(貴格)이 된다.
 
 

9. 식신투살(食神透煞)

 
만약 식신경에 칠살이 투출하면 본디 재성을 보는 것을
꺼리는데 재성이 앞(年)에 있고 칠살이 뒤(時)에 있는데
식신이 그 사이(月)에 있다면 재성이 칠살을 生하지
못하므로 역시 귀하게 된다.

 
유제독(劉提督)의 명을 보면 癸, 辛酉, , 亥인데
그러하다.
 
기타 나머지의 변화를 다 설명할 수는 없으나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발췌] 산음 자평진전           김기승,   나혁진     편역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