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0 - 3. 십성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분석

1) 십성의 정신분석학적 개요
십성은 인간 정신생태계의 근원적 성정을 이루는 본능군의
순환회로(서킷, Circuit)를 기호화한 정신구조의 질서 체계이다.
이것은 다른 오행과의 코드를 찾아 연계 발전하거나, 또는
진보와 도태의 현상으로 순행과 역행의 연동성을 갖게 된다.
명리에서는 이를 생극제화라고 명명한다. 각 십성이 고유
성질로부터 사회적 가치로 등치(아이소그램, Isogram)를
이루는 과정에는 3단계 발현과정의 프로세서(Processor)가
요구된다.
이는 각 인센티브 코드(Incentive Code)와 공조하여 심리적
선상의 오토 그래픽을 형성한다.
2) 3단계 발현과정의 프로세서
3단계 발현과정의 이론을 통해 인성에 내재된 욕구 원형질의 양상과 그것이 지향하는 무의식적 시간을 판독하여 보다 고양된 삶으로 수정, 지원을 이루게 된다. ① 1단계 무의식적 욕구인생리적 성향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원초적 존재의 절대값] * Incentive Code : 설기(洩氣) 오행으로 욕구의 변화를 모색 ② 2단계 잠재의식적 욕구인 정신적 성향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치화로 전향된 정신적인 존재값] * Incentive Code : 생조(生助) 오행으로 의욕과 욕구의 편성 ③ 3단계 의식화된 욕구인 사회적 성향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산출된 능력이 극대화된기능으로 존재값] * Incentive Code : 극제(剋制) 오행으로 유동성과 상승의 효과 |
(1) 비겁의 생태 분석론 - 본능계 영역
생존적 지향성, 방어 본능, 경쟁성, 생명력, 충족쾌감의 근원적
자원으로 식상과 인성과 관성의 공급체곙에서 성취의 생산구조를
이룬다.
① 1단계(무의식적 욕구인 생리적 성향)
하고자 하는 욕구, 이루어내야만 하는 강요된 욕구의 성질
* Incentive Code[욕구상향과 욕구의지] : 식상과 교감
② 2단계(잠재의식적 욕구인 정신적 성향)
에너지의 정체성과 실현 의지의 탐색
* Incentive Code[욕구정체성 탐색과 에고발견] : 인성과 교감
③ 3단계(의식화된 욕구인 사회적 성향)
외부요인과의 유연한 기여와 수용 관계
* Incentive Code[욕구의 연계적 공유와 자아발현] : 관성과 교감
(2) 식상의 생태 분석론 - 감성계 영역
창의적 지향성, 이미지 생산, 교감, 동질성, 구상, 실험성의 근원적
자원으로 재성과 비겁과 인성의 순환 공급구조일 때 성취의 구조
요건을 이룬다.
① 1단계(무의식적 욕구인 생리적 성향)
재능의 다양성과 현실 투사에의 욕구 증대
* Incentive Code[욕구상향과 욕구의지] : 재성과 교감
② 2단계(잠재의식적 욕구인 정신적 성향)
재능의 발현화 에너지와의 충돌
* Incentive Code[욕구정체성 탐색과 에고발견] : 비겁과 교감
③ 3단계(의식화된 욕구인 사회적 성향)
재능의 현실화와 기회 착안
* Incentive Code[욕구의 연계적 공유와 자아발현] : 인성과 교감
(3) 재성의 생태 분석론 - 욕망계 영역
발전적 지향성, 사회적 자생력, 공존 공생, 도전정신의 근원적
자원으로 관성과 식상과 비겁과의 공급수요의 충분조건을 이룰
때 긍정적 생산구조를 이룬다.
① 1단계(무의식적 욕구인 생리적 성향)
의지 투입과 의지 현실화
* Incentive Code[욕구상향과 욕구의지] : 관성과 교감
② 2단계(잠재의식적 욕구인 정신적 성향)
의지의 실현을 위한 목적의 체계화
* Incentive Code[욕구정체성 탐색과 에고발견] : 식상과 교감
③ 3단계(의식화된 욕구인 사회적 성향)
의지의 가시화를 위한 프로젝트
* Incentive Code[욕구의 연계적 공유와 자아발현] : 비겁과 교감
(4) 관살의 생태 분석론 - 통제계 영역
도덕적 지향성, 통제력, 안배적 추진의지, 공익성의 근원적
자원으로 인성과 재성과 식상과 조화로이 응하는 구조일 때
순환적 생산구조를 이룬다.
① 1단계(무의식적 욕구인 생리적 성향)
성취욕구의 팽창과 지적 자산의 과잉상태
* Incentive Code[욕구상향과 욕구의지] : 인성과 교감
② 2단계(잠재의식적 욕구인 정신적 성향)
성취를위한 다변적 구상과 모색
* Incentive Code[욕구정체성 탐색과 에고발견] : 재성과 교감
③ 3단계(의식화된 욕구인 사회적 성향)
성취를 유도하는 다각적 실험정신
* Incentive Code[욕구의 연계적 공유와 자아발현] : 식상과 교감
(5) 인성의 생태 분석론 - 사고계 영역
이성적 지향성, 지성, 성찰, 양심, 탐색, 일치감의 근원적 자원으로
비겁과 관성과 재성의 순환공급 구조일 때 긍정적 성취의 생산
구조를 이룬다.
① 1단계(무의식적 욕구인 생리적 성향)
삶의 과잉목표에 대한 불안과 긴장
* Incentive Code[욕구상향과 욕구의지] : 비겁과 교감
② 2단계(잠재의식적 욕구인 정신적 성향)
목표의 설정과 현실적 괴리의 최소화 유도
* Incentive Code[욕구정체성 탐색과 에고발견] : 관성과 교감
③ 3단계(의식화된 욕구인 사회적 성향)
목표의 현실 투사를 위한 지적자원의 활성화
* Incentive Code[욕구의 연계적 공유와 자아발현] : 재성과 교감
[발췌] 현대사주심리학 김기승, 나혁진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