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자평진전(子平眞詮)

제4장 십간합화(論十干配合性情) - 4.육친의 예

沅杠(원강) 2024. 8. 30. 05:42
반응형

4. 십간합화(十干合化)의 성정 - 육친(六親)의 예

 

 
 대체로 다소 合이 있으면 어느 정도 꺼림이 있고,
길함을 만났어도 길함이 되지 못하고,
흉함을 만났어도 흉함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육친으로 이를 설명해 보자면,
 
남자에게는 재성이 처가 되는데 다른 천간에 의해
합을 당하여 없어진다면 재성인 처가 어찌 그 남편과
친밀할 수 있겠는가?
 
여자에게는 관성이 남편이 되는데 다른 천간에 의해
합을 당하여 없어진다면 관성인 남편이 어찌 그 처를
사랑할 수 있겠는가?
 
이것이 배합, 즉 합화의 성정이니 이로 인해 향배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발췌] 산음 자평진전         김기승, 나혁진    편역

728x90